2022년도 제1기 북한종교 아카데미 강의 후기

관리자
2022-03-15
조회수 1062





안녕하세요. 남북사회통합교육원입니다.

  

지난 2월, 남북사회통합교육원은 ‘북한종교 아카데미’를 새롭게 진행하였습니다.

북한은 법적으로는 인민들이 신앙의 자유를 가지고 있다고 공표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종교에 대한 박해를 지속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북한의 종교 정책과 개별 종교별 현황을 살펴보는 일은

북한 정권의 모순성과 국가권력에 의해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당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 현실을 확인하게 합니다.

 

남북사회통합교육원은 이런 북한과 북한사회를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보고자

‘북한종교 아카데미’를 개설하여 6번의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2월 14일 (월)

 


북한종교 아카데미 1강에서는 북한인권정보센터 윤여상 소장님이

 “북한의 종교 실태와 종교의 자유 확대를 위한 역할 및 책임성“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이날 강의를 통해 북한에서는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이 종교의 자유와 충돌함에 따라

‘지배계급이 인민을 기만, 착취, 압박하는 도구’와 같은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반복적으로 학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혹독한 종교박해 속에 ‘반민족주의자’ ‘반혁명주의자’로 낙인이 찍히는 인민들의 현실을 확인하며,

 종교의 자유와 종교 박해의 실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등 국제적인 연대의 힘이 필요함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월 15일 (화)

 

2강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김병료 교수님께서

“북한 종교정책의 이해”라는 제목으로 북한의 종교 정책에 대해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194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북한 종교정책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부터 시작하여,

북한에는 종교가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강사님께서 직접 북한의 교회에 방문하셨을 때의

여러 경험과 소회에 대해 들으며, 북한에 존재하는 종교인들의 현실과

종교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대해 일부 엿볼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2월 16일 (수)

 

수요일에는 북한종교 아카데미 3강과 4강이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3강은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의 이규영 명예교수님께서

“독일 통일과 종교의 역할 및 시사점”이란 주제로 강의를 진행해주셨는데요.

강사님께서 독일의 통일이 이뤄지던 시점에 직접 독일에서 유학생활 중이셨던 만큼,

생생한 경험과 통일과정 시기 교회가 취한 다양한 행보들을 자세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강사님께서는 분단의 시기와 통일 시기 전반에서 독일의 교회는

‘시대정신’을 먼저 제시하는 선구자의 역할을 했다고 하시면서,

한국의 종교계 역시 시대정신을 먼저 제시하여 통일의 길을 이끄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해주셨습니다.

 

 









4강은 김요한 신부님께서 북한 가톨릭 교회의 실태와 더불어

남북 가톨릭 교류의 현황에 대해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가톨릭 교회가 북한 지역에는 언제 전래되어,

그 모습은 어떻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지 촘촘히 톺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더불어 남북한 가톨릭교회의 교류 역사도 짚어볼 수 있었는데요,

특히 최근 진행된 교육지원 사업에 대해서 사진과 함께 살펴볼 수 있어

북한의 사회의 모습을 더 잘 볼 수 있었습니다.

신부님께서는 통일도 좋지만,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인식은

통일보다 평화에 보다 중점을 두고 선의의 자세로 북한에 다가가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가톨릭 교회와 우리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 강조해주시기도 하였습니다.

 

 

 





 

2월 17일 (목)

 

5강으로는 고려대장경연구소의 이지범 소장님께서

북한 불교 실태와 남북 불교 교류현황 및 향후 과제에 대해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강사님께서는 북한 불교의 역사와 더불어, 북한 불교가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다양한 사진과 함께 설명해주셨습니다.

북한의 산줄기를 따라 존재하는 사찰의 모습과 더불어,

북한의 종교 정책에 의해 ‘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는 현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들으며 북한의 불교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월 18일 (금)

6강은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인 허문영 박사님께서

북한 기독교 실태와 남북 기독교 교류현황, 향후 과제에 대해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강사님께서는 국가의 종교 간섭에 의해 북한 기독교가 1945년부터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와 더불어, 현재 북한교회의 현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더불어 한국교회가 북한과의 교류에 시기별로 어떻게 접근했는지도

전해주시며, 한국교회가 연합하여 북한에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해주셨습니다.

더불어 현재 북한에 억류되어있는 선교사분들에 대해

시민사회와 정부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씀 하셨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남북사회통합교육원은

시민사회에 더 많은 그리고 양질의 북한인권, 통일교육을 제공하고자

시민후원 운영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남북사회통합교육원과 함께해 주세요!


후원 알아보기!